NETWORK

라우터

Muia_z 2018. 10. 19. 17:28

라우터란 

 -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촉진하는 중계 장치이다. 즉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 지정입니다.


ISR(Integrated Services Router)

 - 네트워크에 있어 필요한 보안, 음성 지원, 무선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


Interface

 - 라우터의 접속 가능한 포트이다.

 - Ethernet과 Serial이 있다.

- Ethernet : 내부 네트워크 간 접속시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.

- Serial : WAN(Wide Area Network)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.


라우터의 기능

 - 경로 설정(Path DetermInation) :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검사하고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최선인지 결정.

 - 스위칭(Switching) : 경로 설정이 결정될 경우 데이터 패킷 스위칭 작업을 함.


라우터가 경로 설정과 스위칭을 하는 방법.

 - 관리자에 의해 라우팅 프로토콜을 정의하고, 그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경로설정과 스위칭을 한다.

 -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장치의 포트(인터페이스)별로 어디로 가야할지 지정을 한다.

 - 라우팅 구성은 라우터의 콘솔 포트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한 후 사용한다.


라우팅(Routing)

 - 라우틍은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과정과 네트워크 안의 호트으에게 패킷들을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.

 - 라우팅의 종류로는 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, 디폴트 라우팅(Default Routing), 동적 라우팅(Dynamic Routing)이 있다.

     정적,디폴트,동적 라우팅 => http://bitly.kr/wf4b


라우티드 프로토콜(Routed Protocol)

 - 수동의 의미로서 즉 라우팅 당하는 프로토콜, 라우터에 의해 라우팅을 당함.

 - 종류 : TCP/IP, IPX, Apple Talk


라우팅 프로토콜(Routing Protocol)

 - 능동의 의미로서 즉 라우팅 하는 프로토콜, 라우팅 알고리즘이라고 함.

 - 종류 : RIP(Version 1, Version 2), IGRP, OSPF, EIGRP



예를 들어 택시가 있고 택시기사와 승객이 있다면.

택시는 라우터 이고 택시기사는 라우팅 프로토콜, 승객은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라 할 수 있다.

여기서 택시기사가 네비게시션의 경로대로 간다면 네비게이션은 라우팅 테이블로 비유 할 수 있다.


라우팅 테이블

 - 라우팅 테이블은 이정표 또는 기억하고 있는 경로

 -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속 업데이트하며 라우터 기기의 손상이나 새로운 생성 및 제거에 따라 변화함.